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c85a98c6e7064c9a8341b06778571b24.png/v1/fill/w_905,h_627,al_c,q_90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c85a98c6e7064c9a8341b06778571b24.png)
Fluid Handling Solution 세광
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와우안길 109 화성공구유통밸리 지하 29호
TEL : 031) 396-9822, MOBILE : 010) 9214-5112, FAX : 070) 8831-9823
E-Mail : ah851076@gmail.com
펌프의 종류
작동원리에 따른 분류
동력원에 따른 분류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41d000_251c76207257ee825348f0c9c428ec9e.png/v1/fill/w_1094,h_47,al_c,lg_1,q_85,enc_avif,quality_auto/41d000_251c76207257ee825348f0c9c428ec9e.pn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97a7f7e20f034f019441b86583f932b7.gif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f5af2f87bf5742638c4b83333f58e810.gif)
1. 터보형 펌프 – 임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한 원심력을
이용하여 액체를 이송하는 방법입니다.
1-1. 원심펌프의 분류
1-1-1. 안내깃의 유무에 따른 분류
(a) 볼류트 펌프(volute pump): 회전차 바깥둘레에 안내깃이 없고 바깥 둘레에 바로 접하여
와류실이 있는 펌프, 일반적으로 임펠러 1단이
발생하는 양정이 낮은 것에 사용된다.
(b) 터빈펌프(turbine pump): 임펠러 바깥 둘레에 안내깃을 가지고 있는 펌프
1-1-2. 흡입 방식에 따른 분류
(a) 단흡입 펌프 (Single Suction Pump) :
임펠러의 한쪽에서만 흡입
(b) 양흡입 펌프 (Double Suction Pump) :
회전차의 양쪽으로 흡입 양정이 높은 곳에
사용된다.
1-1-3. 단(Stage)수에 따른 분류
(a) 단단(Single Stage) 펌프 : 1개의 임펠러를
갖는 펌프
(b) 다단(Multi-Stage) 펌프 : 펌프 한 대에
여러 개의 임펠러를 같은 축에 배치하여
1단에서 나온 액체를 2단에서 그리고
그 다음단으로 계속 연결되는 펌프
1-1-4. 회전차의 형상에 따른 분류
(a) 반경류형 회전차(Radial Flow Impeller) :
액체가 회전차 내부를 지날 때 흐름의
궤적이 거의 축과 수직인 평면내를 반지름
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차를 갖는 펌프
(b) 혼류형 회전차(Mixed Flow Impeller) :
회전차 입구에서 출구에 이르는 동안에
반지름 방향과 축 방향과의 흐름이 조합된 것
Impeller 종류에 따른 유체의 흐름
2. 용적형 펌프 – 펌프 내부의 용적의 변화를 이용하여
액체를 흡입, 토출하는 방법입니다.
2-1. 왕복식 펌프 : 다이아프램펌프와 피스톤펌프,
플런져펌프등이 있습니다.
2-2. 회전식 펌프 : 기어펌프와 베인펌프, 나사펌프, 캠펌프, 스크류펌프등이 있습니다.
3. 특수형 펌프 – 와류펌프, 제트펌프, 수격펌프,
점성펌프, 관성펌프, 기포펌프, 전자펌프,
진공펌프등이 있습니다.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2d541212e3f84ec791e44e0f8c20fc9c.jpg/v1/fill/w_369,h_202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2d541212e3f84ec791e44e0f8c20fc9c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463b002d3d634f14ac49124602292ebd.jpg/v1/fill/w_265,h_164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463b002d3d634f14ac49124602292ebd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65e49c5ec20d435097f0b034be35777a.jpg/v1/fill/w_351,h_134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65e49c5ec20d435097f0b034be35777a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10ba895d2d244beda5ac0641b15de8a3.jpg/v1/fill/w_421,h_108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10ba895d2d244beda5ac0641b15de8a3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3348759fea074453803ad59eb9abab22.jpg/v1/fill/w_177,h_276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3348759fea074453803ad59eb9abab22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03a6113405e54af9a20ac5997855d40a.jpg/v1/fill/w_202,h_214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03a6113405e54af9a20ac5997855d40a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30d05b5de6454a6db389b58bb6421a3b.jpg/v1/fill/w_156,h_128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30d05b5de6454a6db389b58bb6421a3b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59b5df69cac1414ca23b763b47274916.jpg/v1/fill/w_165,h_109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59b5df69cac1414ca23b763b47274916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8524b6883c0144f3ac546a37610ce372.jpg/v1/fill/w_156,h_118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8524b6883c0144f3ac546a37610ce372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d824b88d52d043f7a1751c9fb3e5f3ac.jpg/v1/fill/w_114,h_119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d824b88d52d043f7a1751c9fb3e5f3ac.jpg)
1. 전기모터 구동 – 대다수의 펌프가 해당되며, 전기모터의
동력을 이용 하여 구동되는 펌프로, 원심펌프,
기어펌프등에 널리 적용되는 방법입니다.
2. 압축공기 구동 – 컴프레서에서 만들어진 압축공기의
압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압력차이를 이용한
유체 이송 방법으로, 전기모터 사용시 발생되는
내부 Spark로 인한 화재의 위험에서 안전하며,
작동 원리상 토출 배관 내의 압력에 따라 토출압력 및
토출유량의 변화가 자유롭고, On/Off 제어도
자유롭습니다.
3. 유압 구동 – 전기모터나 압축공기로 구현하기 어려운
고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원으로 별도의
유압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유압을
동력원으로 사용 함으로서 초고압 및 저소음을
구현 합니다.
4. 엔진 구동 – 전기 및 동압, 유압의 사용이 어려운
환경에서 적용되는 방법으로 별도의 엔진을
장착 하거나, 이동차량의 동력을 직결하여 사용합니다.
5. 인력 구동 – 사용빈도가 적고, 이송량이 작을 때
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8b6d7632ec8f457fb4ee1d15c8da1723.jpg/v1/fill/w_363,h_277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8b6d7632ec8f457fb4ee1d15c8da1723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d1c7b8e5eac54479b68778b2d8d72d61.jpg/v1/fill/w_152,h_228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d1c7b8e5eac54479b68778b2d8d72d61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e165c56960ca4aa79dbc6d11ab92b146.jpg/v1/fill/w_100,h_261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e165c56960ca4aa79dbc6d11ab92b146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61189101ae684998ba740d7065b3b4f8.jpg/v1/fill/w_256,h_246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61189101ae684998ba740d7065b3b4f8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bc55b1122fb445a99033275fba627333.jpg/v1/fill/w_316,h_237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bc55b1122fb445a99033275fba627333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f79854a61fe24f1d84eb42b7dedfbecc.jpg/v1/fill/w_327,h_258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f79854a61fe24f1d84eb42b7dedfbecc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348312cbdcfc4ccfb22a10b9fb7f5bd9.jpg/v1/fill/w_183,h_212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348312cbdcfc4ccfb22a10b9fb7f5bd9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ca31b0a2fcb0471f8d2c7184f569bb50.jpg/v1/fill/w_126,h_209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ca31b0a2fcb0471f8d2c7184f569bb50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c4dab0_c2fe5532ebfe4f95ae87a20973364416.jpg/v1/fill/w_50,h_187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c4dab0_c2fe5532ebfe4f95ae87a20973364416.jpg)